요약|민생회복지원금 2차 맞벌이 가구의 경우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이 기준이 되며, 소득 상위 10%를 초과하면 제외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맞벌이 가구의 소득기준·신청방법·지급일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민생회복지원금 2차 맞벌이, 왜 중요한가?
맞벌이 가구는 단순히 1인의 건강보험료만 보는 것이 아니라 부부가 각각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를 합산해야 합니다. 즉, 외벌이 가구보다 상위 10% 판정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. 이 때문에 맞벌이 가구는 소득기준 확인이 필수적입니다.
맞벌이 가구 소득기준
정부는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합산을 기준으로 상위 10%를 제외합니다. 피부양자는 금액에 포함되지 않으며, 납부자 수만 계산합니다. 아래는 대표적인 맞벌이 가구 기준표 예시입니다.
가구 유형 | 합산 납부자 수 | 상위 10% 추정 기준 (직장) | 상위 10% 추정 기준 (지역) | 혼합(직장+지역) |
---|---|---|---|---|
2인 맞벌이 | 2명 | 546,760원 초과 | 419,940원 초과 | 약 483,000원 초과 |
3인 가구 (맞벌+성인자녀) | 3명 | 820,140원 초과 | 629,910원 초과 | 약 700,000원 초과 |
※ 기준은 보건복지부·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 : 정부24, 카드사 앱,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
- 오프라인 신청 : 주민센터, 제휴은행 영업점
- 필요 서류 : 신분증,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, 소득 증빙서류
지급 일정
- 신청 기간 : 2025년 9월 22일(월) ~ 10월 31일(금)
- 지급 시작 : 9월 말부터 순차 지급
- 사용 기한 : 2025년 11월 30일까지
Q&A 자주 묻는 질문
Q1. 맞벌이 가구는 왜 합산하나요?
A1. 정부는 가구의 총 소득 여력을 보려 하기 때문에, 납부자의 보험료를 합산해 판정합니다.
Q2. 맞벌이인데 한쪽은 직장, 한쪽은 지역가입자라면?
A2. 두 금액을 단순 합산해 상위 10% 기준과 비교하면 됩니다.
Q3. 1차 때 지원금을 받았는데 2차도 받을 수 있나요?
A3. 네, 상위 10%가 아니면 2차도 지급됩니다.
Q4. 건강보험료 기준 외에도 다른 제한이 있나요?
A4. 고액자산가 제외 등 보완 기준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
마무리|민생회복지원금 2차 맞벌이 가구는 반드시 건강보험료 합산액을 확인해 대상 여부를 점검해야 합니다.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, 지역사랑상품권이나 카드 포인트로 지급받아 생활비 부담을 줄이시길 바랍니다.